개발/기타
Windows WSL 환경에서 Homebrew 설치하기
카펀
2022. 2. 16. 20:46
Vue.js 공식 문서에 기여를 해 보려고 GitHub에 들어가 보았습니다 (링크).
의존성 설치를 위해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입력해야 했는데,
yarn # or npm install
yarn이 무엇인가 하고 찾아 보니 Facebook에서 만든 JavaScript 매니저라고 합니다.
그래서 yarn을 설치하려고 하니...
brew install yarn
제게 굉장히 익숙한 brew 명령어가 나왔습니다.
macOS에서는 늘 homebrew를 통해 패키지를 설치했으니까요.
하지만 저는 지금 Windows 환경에서 진행하고 있던 참이었습니다.
불행 중 다행히도, 저는 평소에 WSL을 이용해서 Windows에서도 Linux Terminal (zsh)를 사용하고 있었고, 윈도우에서도 homebrew를 설치할 수 있다고 합니다.
설치 과정
먼저 homebrew를 설치해 줍니다.
/bin/bash -c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Homebrew/install/master/install.sh)"
자동으로 설치가 진행됩니다.
다음으로 Windows 환경에서 homebrew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환경 변수에 추가해 주어야 합니다.
echo 'eval $(/home/linuxbrew/.linuxbrew/bin/brew shellenv)' >> /home/[유저명]/.zprofile
eval $(/home/linuxbrew/.linuxbrew/bin/brew shellenv)
추가한 이후에는 zsh에서 brew를 입력하면 파란색으로 표시됩니다.
사용 가능하다는 이야기죠.
잘 설치됐나 테스트를 해 봅시다.
brew install hello
일련의 과정을 거쳐 설치가 진행됩니다.
터미널에 hello를 치면 재밌는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
brew의 버전을 확인해 볼 수도 있습니다.
brew --version
Windows의 WSL 환경에 성공적으로 homebrew를 설치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