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iadb2 [혼자 구현하는 웹서비스] 8-1. EC2 서버에 프로젝트를 배포해 보자 (MariaDB) * 이 글은 '스프링 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 (프리렉, 이동욱 저) 를 공부하며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 내용을 따라가며 쓴 글이라 책과 흐름이 겹칠 수 있으나, 최대한 내용을 이해한 후 저의 글로 옮겼습니다. * 이 글은 7-1. AWS에 데이터베이스 환경을 만들어보자 - AWS RDS (MariaDB) 에서 이어집니다. 이전 글에서 밝혔던 대로, 일단은 MariaDB로 진행할 예정이다. 글 제목은 이전 글과 같이 챕터-1 의 형식을 유지하려고 한다. 나중에 PostgreSQL로 이어서 작성하게 된다면 그때 넘버링을 이어 갈 예정이다. 앞서 1~5장에서는 스프링 부트를 이용해 웹 서비스를 담당할 코드를 작성했고, 6~7장에서는 웹 서비스를 올릴 서버 환경을 세팅했다. 여기서부터는.. 2022. 2. 3. [혼자 구현하는 웹서비스] 7-1. AWS에 데이터베이스 환경을 만들어보자 - AWS RDS (MariaDB) 기존 글: [Spring Boot] 7. AWS에 데이터베이스 환경을 만들어보자 - AWS RDS 기존 글에서는 책에서 소개한 MariaDB 대신 PostgreSQL을 이용하여 진행해 보고자 했으나, 책에서 안내하는 진행 방법과는 차이가 나는 부분이 몇몇 존재하였고,그 중 EC2와 RDS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해결법을 도저히 못 찾겠어서 (나중에 글로 따로 정리해서 올릴 예정)... 그래서 일단은 MariaDB로 다시 진행하기로 했다.MariaDB는 MySQL에서 갈라져 나온 오픈소스 DB로, 기존에 MySQL을 사용해 본 경험이 있는 나에게 크게 생소한 DB가 아니다.현재로써는 특정 DB를 이용해 환경을 구축하는 것보다는, 전체적인 웹 개발의 흐름을 따라가며 익숙해지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여 Mar.. 2022. 1. 3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