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2

ktor을 통해 택배 배송상태 조회 시스템을 만들어보자 Kotlin을 주로 사용하고 있는 BE 개발자로서, 항상 ktor 프레임워크에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던 와중, 전자책 기기를 샀는데 배송이 언제 오는지 궁금해하다가, 택배 배송상태를 조회하는 API를 호출하고 응답을 보여주는 시스템을 만들어 보면 어떨까 싶었습니다. 그래서? 개발해 봤습니다 ㅎ 목차 0. 택배사 조회 API 선정 1. 만드는 시스템 소개 2. ktor로 만들어보자! 3. 결과 0. 택배사 조회 API 선정 일단 각 택배사에서 배송상태 조회 사이트를 제공하고 있긴 한데, 이걸 open API 형태로 제공하고 있는 것은 아닙니다. 다행히도 택배사 상관 없이 조회할 수 있는 서비스가 몇 개 있습니다. 스마트택배 API Delivery Tracker 스마트택배 API는 무료 플랜이 있지만.. 2023. 6. 4.
[JPA] 조회 메소드에 파라미터 추가하기 쿼리를 직접 작성하여 저장한 후 불러와 사용하는 MyBatis와는 다르게, JPA는 미리 정해둔 요건에 따라 쿼리를 자동으로 생성한 후 실행해 줍니다. 그러다 보니 JPA를 처음 접하다 보면 단순한 CRUD 구현에도 헤매게 됩니다. 우연한 계기로 전달받은 파라미터를 조회 쿼리의 WHERE에 사용하는 방법을 찾아보게 되어 정리합니다. 1. JPA와 @Query의 역할 2. @Query를 통한 조회 시에 파라미터 전달하기 3. 테스트 코드로 검증하기 1. JPA와 @Query의 역할 먼저, 글을 작성하기에 앞서, 저는 JPA에 대해 매우 기초적인 지식만 가지고 있음을 알려 드립니다. 회사에서는 MyBatis를 이용하여 xml 파일에 쿼리를 직접 작성하는 개발을 하고 있으며, JPA는 여기서 진행한 개인 프로.. 2022. 7. 4.